거버넌스 뜻
거버넌스 뜻
거버넌스(Governance)란 무엇인가?: 협치를 통한 새로운 통치 방식
**'거버넌스(Governance)'**는 원래 라틴어 'Gubernare(통치하다)'에서 유래한 말로, 우리말로는 **'통치'** 또는 **'관리'**로 번역됩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단순히 정부가 국민을 다스리는 **'일방적인 통치(Government)'**를 넘어,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고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협치(協治)'**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과거의 통치는 정부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수직적인 구조였습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복잡하고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정부 혼자만의 힘으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거버넌스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 기업, 시민단체, 개인 등 다양한 주체가 함께 참여하는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는 거버넌스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기존 통치 방식과의 차이점,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거버넌스의 사례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거버넌스와 거버먼트(Governme
nt)의 차이
거버넌스를 이해하려면 먼저 '거버먼트'와의 차이를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거버먼트(Government)
'정부'라는 뜻으로, 국가를 다스리는 공식적인 기관을 의미합니다. 통치 행위는 주로 법률과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며, 의사 결정 과정이 수직적이고 일방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 주체: 정부, 공무원 등 국가 기관.
- 특징: 법과 규칙에 의한 강제적 통제, 명령과 복종의 위계적 관계.
거버넌스(Governance)
'통치' 또는 '협치'라는 뜻으로, 공식적인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정부 주체들이 참여하여 의사 결정과 통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입니다. 의사 결정 과정은 수평적이고 협력적입니다.
- 주체: 정부, 기업, NGO(비정부기구), 시민단체, 전문가, 일반 시민 등.
- 특징: 협력과 소통을 통한 문제 해결, 네트워크와 파트너십 강조.
거버먼트는 '누가 다스리는가(Who governs)?'에 초점을 맞춘다면,
거버넌스는 '어떻게 다스리는가(How is it governed)?'에 초점을 맞춥니다.
거버넌스의 다양한 유형
거버넌스는 적용되는 주체와 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1. 기업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주주, 이사회, 경영진, 노동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권리와 의무를 조율하여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서 'G'가 바로 이 거버넌스를 뜻합니다.
2. 공공 거버넌스(Public Governance)
국가나 공공 부문에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과정에 시민과 시민단체, 기업 등이 참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민 참여 예산제, 정책 공청회, 민관 협력 사업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3. 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
국경을 초월한 환경 문제, 테러, 전염병 등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 체계를 의미합니다. UN, WHO, WTO와 같은 국제기구들이 주요 역할을 하지만, 이 외에도 비정부기구(NGO), 다국적 기업 등이 함께 참여합니다.
4. 디지털 거버넌스(Digital Governance)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통치 방식입니다. 전자정부, 온라인 투표, 빅데이터 기반 정책 결정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거버넌스의 중요성과 미래 전망
거버넌스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개념이 되었습니다.
- 복잡한 문제 해결: 거버넌스는 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지닌 다양한 전문성과 자원을 결합하여 복잡한 사회 문제를 더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합니다.
- 민주주의 확대: 시민들의 정책 결정 과정 참여를 보장하여 민주주의의 깊이를 더하고, 시민들의 정치적 효능감을 높입니다.
- 투명성과 책임성 증진: 의사 결정 과정을 공개하고, 여러 주체가 서로를 견제하게 함으로써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합니다.






미래 사회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후변화와 같이 더욱 복잡한 문제에 직면할 것입니다. 정부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늘어나면서, 거버넌스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누가 다스릴 것인가'를 넘어, '어떻게 함께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Disclaimer: 이 글은 거버넌스의 기본 개념과 중요성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정치학, 행정학, 경영학 등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의미는 미묘한 차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정보는 해당 분야의 전문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